경력기술서는 지원하려는 직무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경력을 최신순/중요도 순으로 작성해야합니다. 핵심 역량이 잘 드러나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수치를 근거로 작성합니다.
연관성: 당연하지만 지원하려는 직무와 연관성이 있는 것만 작성해야 합니다. 경력이 아무리 화려하더라도 지원하는 직무 및 업무와 연관이 없는 것이라면 불필요하게 됩니다. 연관성 없는 내용을 늘어놓는 것은 억지로 채운 느낌이 들어 전문성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핵심 역량: 경력이 있는 사람이 이직을 할 때는 경험과 핵심 역량을 제일 중점으로 봅니다. 이제까지 경력 중 어떤 성과를 냈고, 어떤 핵심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히 서술하면 좋습니다.
인사담당자 관점: 경력기술서를 작성할 때는 지원자가 보여주고 싶은 것을 작성하는 경향이 큽니다. 하지만 경력기술서를 보고 채용을 결심하는 사람은 인사담당자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보여주고 싶은 내용을 작성하는 것도 좋지만 인사담당자가 궁금해할 점들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 순서: 경력을 기술할 때는 최신 순이나 중요도 순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경력부터 순서대로 작성하거나 좋은 성과를 냈거나 규모가 컸던 프로젝트를 먼저 부각시키며 기술할 수도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디자인, 기획, 마케팅 등 경력기술서 만으로 파악이 어려운 직무들이 존재할 것입니다. 이때는 경력기술서에 더해 포트폴리오를 첨부하면 인사담당자가 지원자를 훨씬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실행 과정과 결과: 업무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실행과 결과가 항상 존재합니다. 본인이 해당 업무 혹은 프로젝트 내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고, 어떤 성과를 냈는지 정리하여 보여줘야 합니다. 성과를 밝힐 때에는 두루뭉술하게 말하는 것보다는 정확한 수치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면 좋습니다.
인사 전문가에게 경력기술서 첨삭받기 ➡️
5. 경력기술서 작성 시 흔히 하는 실수
경력기술서 작성시 흔히 하는 실수 리스트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경력기술서를 점검하세요.
과장된 내용: 업무 성과나 역량을 과장하여 표현하는 것을 주의하세요. 사실에 근거하여 솔직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일반적이고 흔한 내용: 경험이나 역량을 일반적으로만 표현하는 것을 지양합니다. 구체적이고 독특한 경험을 강조해야 합니다.
비 기술적 표현: 기술적 업무나 역량은 구체적으로 표현해야합니다. 특정 프로젝트, 도구,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시키세요.
잘못된 포맷 및 레이아웃: 일관성 없는 글꼴, 레이아웃, 헤더, 간격 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깔끔하고 일관된 포맷을 유지해야 합니다.
핵심 내용 누락: 경험, 성과, 역량 중 핵심적인 내용을 누락하는 것을 주의합니다. 각 경험의 핵심을 강조하고 업무 성과와 어떻게 기여했는지 명확하게 표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