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Tip
프리랜서는 노후 준비를 어떻게 해야할까?(국민연금 편)
2023-11-15

안녕하세요. 여러분! 경제 크리에이터 개념있는 희애입니다. 프리랜서들을 위한 경제 꿀팁을 차근차근 전해드리고 있는데, 잘 따라오고 계신가요? 이번에는 ‘프리랜서의 노후 준비’를 주제로 ‘국민연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 텐데요. 사실 우리 프리랜서들은 노후 준비를 하기가 결코 쉽지가 않아요. 직장인들처럼 퇴직연금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미리 노후 관련 저축에 가입해서 비축하자니 수입이 일정하지 않아서 그것 역시 망설여지죠. 그래서 더욱이 ‘국민연금’이 중요하게 느껴지는데요.
“어? 우리는 못 받는 거 아니었어?” 아마 2030 프리랜서들, 즉 90년대생 이후의 출생자들은 국민연금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쌓인 연금액이 곧 고갈돼서 우리가 노후를 맞이할 때는 국민연금이 의미가 없어질 것이라는 내용의 기사가 마구 쏟아지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개혁 논의가 되고 있으니,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며! 국민연금이 대체 뭐고 어떤 힘을 가진 제도인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노후 준비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제도예요. 가입 대상은 만 18세부터 60세 미만의 국민이고요. 납부한 국민연금은 만 65세부터 받을 수 있어요. 매달 꼬박꼬박 내는 월 보험료는 소득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월 소득액의 9%를 내야 해요. 만약 우리가 직장인이라면 절반인 4.5%는 회사에서 나머지 4.5%는 우리가 내면 되겠지만, 프리랜서는 소속된 회사가 없잖아요? 우리가 9%를 모두 부담합니다.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이상을 내야 훗날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요. 만약 내가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을 미리 확인해 보고 싶다면,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클릭)’ 메뉴를 통해서 미리 예상 수령액을 확인해 볼 수 있어요.

💡 보험료를 내지 못한다면?
프리랜서들은 언제 수입이 적어지거나 없어질지 알 수 없죠. 이 때문에 늘 불안하기도 하고요. 국민연금은 소득이 없어지면 해당 기간 동안 연금 보험료를 면제해 주니 납부 걱정은 하지 않아도 돼요. 다만 이 기간은 가입 기간에서도 제외되기 때문에 노후에 국민연금 수령액이 줄어들 수는 있죠.
이런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제도가 ‘실업 크레딧’인데요. 소득이 없는 기간에도 국민연금을 일부분만 낼 수 있는 방식이에요. 최대 1년간 75%의 보험료를 국가가 지원해 주고 국민연금 가입 기간도 인정받을 수가 있는 거죠. 만약 평소에 10만 원씩 월 보험료를 냈다면 수입이 없어진 기간 동안 월 25,000원씩만 보험료를 내고,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유지할 수 있는 거예요. 노후 대비를 위해서 가입기간을 이어가고 싶다면 활용해보셔도 좋아요.

💡아예 보험료를 낼 수 없는 상황이라면?
“나는 25% 납부도 부담스러워!”라고 생각이 드는 시기가 있을 수 있어요. 프리랜서의 수입은 늘 들쭉날쭉하니까요. 이럴 때는 ‘추납제도’를 활용해 보세요. 추납은 ‘추후 납부’의 줄임말인데요. 만약 프리랜서가 갑자기 수입이 없어져서 연금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한다면, 추납제도를 신청하고 나중에 못 냈던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게 해주는 거예요.
추납 금액은 신청 월의 국민연금 보험료에 추납 희망 개월 수를 곱해서 산정하게 되고, 최대 10년까지 인정됩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신청할 수 있고, 나중에 추납 금액을 한 번에 납부하거나 최대 60개월까지 분할 납부하는 것도 가능해요.
오늘은 이렇게 우리 프리랜서들이 국민연금과 관련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들을 알아보았어요. 고정적인 수입이라는 개념이 없기에 노후가 더 불안하게 느껴지겠지만, 한편 국가의 제도를 잘만 활용한다면 안정적으로 노후를 대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여러분의 불안한 마음에 조금이나마 평안함이 깃드는 꿀팁이었길 바라요! 그럼 우린 더 유용한 꿀팁으로 또 만나요! 안녕-!
개념있는 희애씨
My Life But Better
더 나은 일상을 만들 수 있는 금융정보를 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