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사기 보증금, 임차권등기명령으로 돌려받기
크몽 지식창고
크몽 지식창고
2023-06-24
한동안 집값 상승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무리한 대출을 해서 전세를 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었습니다. 문제는 집값이 하락하면서 역전세가 일어나거나, 의도하고 전세사기를 계획한 이들 때문에 피해자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전세 사기로 힘들어하고 계시다면 어떤 방법으로 대처해야 할지 정보를 공유드리겠습니다.
사례
A씨는 직장이 신도시로 이전하면서 해당 지역 내의 아파트 전세로 들어갑니다. 그 당시 막 신축 아파트들이 완공이 되어 입주했기 때문에 전세집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4년 동안 거주하던 A씨는 아예 해당 지역 내에 아파트 구입을 위해 계약해지를 통보합니다. 이후 해지날짜가 다가옴에도 집주인 B씨는 전세금을 반환해주지 않고 버텼습니다.
알고 보니 B씨는 신도시 내에 이렇게 갭투자로 여러 채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몇 달 간격으로 전세세입자들이 퇴거하자 반환해줄 여력이 없어 A씨의 전세금을 반환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만일 이런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이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갭투자 전세사기 법적대응법
전세사기를 당했다면 지급명령, 민사소송 등 법적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1) 지급명령
먼저 시간과 비용을 아껴 빠르게 시도해볼 수 있는 것은 지급명령입니다. 이것을 거부하고 이의 제기를 하는 경우 민사소송으로 전환됩니다.
2) 전세금반환소송
소송 시 임대차계약서, 해지통보 등의 증거를 토대로 소송을 진행하면 대부분 승소합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자발적으로 반환하지 않을 경우 재산상황을 파악하여 재산 압류나 강제경매를 통해 전세금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2. 갭투자 전세사기 성립 요건은?
3. 갭투자 전세사기의 처벌은?
요약
4. 갭투자 전세 사기를 당했다면?
사기를 당했다면 민사 형사 소송을 진행해야 합니다. 소송 전에 상호간의 합의를 거쳐 피해에 대한 보상을 받고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확률은 높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결국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요.
소송은 법적으로 깔끔하게 사건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고, 그 절차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기에 일상생활을 하면서 소송까지 진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만일 혼자 대응이 어렵거나 스스로 소송을 진행할 여유가 없다면 변호사에게 사건을 일임하는 것도 좋은 해결방안이 될 것입니다.
법률 문제, 반드시 변호사와 해결하세요.
크몽 1:1 실시간 변호사 상담
이 콘텐츠는 23년 6월 외부 전문가에 의해 작성/검수되었습니다.
글에 등장하는 인물, 단체, 지역, 제품 등은 실제와 무관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법적 조치를 취하기 전 참고 용도로만 사용하시고, 자세한 상황은 전문가와 함께 의논하시어 해결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