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몽로그

'Future of Work' vol.1

백세 N잡ㅣ오랫동안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2024-05-31

Future of Work

kmong insight


'Future of Work'는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현재 일하는 방식이 담겨있습니다.


원하는 일을, 원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만큼 하기 위해 크몽이 전하는 이야기를 통하여 오늘을 혁신하세요. 미래에 성공하는 힌트를 담겠습니다.

백세N잡이라고 작성되어있는 시니어의 뒷모습(썸네일)


이번 주제는 백세N잡입니다.


백세N잡이란, 개인이 하나의 직업, 평생 직장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직업을 통해 소득을 얻고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백세 시대를 살아가는 방식을 말합니다.


경제적으로 안정을 얻어 삶의 질을 높이고, 변화하는 사회와 경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사람들의 직업 형태입니다.

1. 이런분이 읽으면 좋아요, 목차에 대한 이미지


Part.1

늘어나는 수명, 빨라지는 은퇴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정년은 60세이지만 실질적인 퇴직 연령은 50.5세입니다.


10명 중 6명의 중장년(40-59세)이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퇴직했습니다. 퇴직 사유 중 정년퇴직 비율은 9.7%에 그쳤고,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 등 비자발적 퇴직 비율은 56.5%를 차지했습니다.

😶‍🌫️ 소득없이 12.5년,

길어지는 소득 크레바스

소득 크레바스란 퇴직 후 정식으로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크레바스: 빙하나 만년설 지역에서 빙하가 움직이면서 생기는 깊고 넓은 틈


이 기간은 개인은 정규 소득이 중단되고, 정부나 개인 연금에서의 정기적인 소득이 시작되기 전까지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2. 소득 크레바스 12.5년에 대한 설명

💼 긴 시간 일했지만

이어가지 못하는 경력

2차 베이비부머(50-56세) 직장인들은 퇴직 후에 ‘생활비 부족’을 가장 걱정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은퇴자산 준비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재취업의 가능성도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중장년 구직자의 36.8%는 6개월 이상 장기실업 상태에 놓여있습니다. 퇴직 나이는 빨라지고, 퇴직 후 경제활동에 대한 걱정도 많은데 실제로 재취업이 어렵기까지 한 것이 현실입니다.

3. 퇴직 후 가장 걱정되는 것(생활비 부족)과 퇴직 후 미취업 상태 비율(36.8%)에 대한 이미지



Part.2

더 일하고 싶은 중장년


재취업을 원하는 중장년 중 절반만 재취업에 성공하며, 평균 소요된 기간은 4.4개월입니다. 구직활동 시 어려운 점으로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32.1%)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 재취업 후

예전같지 않은 수입

취업에 성공해도 한 달에 200만 원을 못 버는 중장년이 50%를 넘습니다. 이는 예전 경력 급여의 62.7%수준으로, 사회초년생 보다 적습니다. 


반면 대출이 있는 사람은 56.3%으로,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출 잔액 중앙값은 4천 85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8.9%증가했습니다. 

🔭 경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업을 찾습니다

새로운 일자리 마련이 필요한 중장년의 64.3%가 기존 노동시장의 재취업이 아니라 경력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일을 찾는 ‘창직추구형'으로 나타났습니다.


*창직: 기존 노동시장의 재취업이 아닌, 자신의 경력으로 경제적 소득을 지속적으로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일

4. 재취업자 중 월급 200만원 미만(54%)와 퇴직 후 희망진로 창작 추구형(64.3%)에 대한 설명



Part.3

Job to work, 직장보다는 직업


길어진 수명과 빨라지는 은퇴 시기를 맞이하여 살던대로 살지 않고 새롭게 살아보고 싶은 중장년의 경제 활동의 새로운 기회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경력과 능력이 있지만 직장은 구하기 힘든 시대, 대안은 없을까요?

💫 긱 이코노미

Gig Economy

현재 일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중입니다. 온라인상에서 필요에 따라 프로젝트 단위 또는 기간 단위로 전문성을 거래하는 형태인 긱 이코노미가 새로운 노동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긱(Gig)은 ‘일시적인 일‘이라는 의미로, 오늘날에는 플랫폼을 통해 근무하는 ‘단기 계약 형태의 근로’를 포괄하는 용어로 확장되었습니다.

5. 글로벌 긱 이코노미 시장 규모의 성장 추이를 나타내는 이미지

🙋🏻‍♂️ 프리랜서의 시대

중장년 일자리의 대안

자신만의 직업이 필요한 중장년들에게는 이런 시대적 변화를 기회로 만들 수 있습니다. 매년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자신만의 일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죠.


미국은 전체 프리랜서 중 50세 이상의 중장년 프리랜서가 30%를 넘어섰습니다. 이들의 일 만족도는 90%로 상당히 높습니다.

🔍 업무 범위가

넓어진 프리랜서

과거 프리랜서는 예술가 디자이너 등 한정적인 범위의 노동의 형태를 뜻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프리랜서는 기존 노동시장의 모든 직군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크몽은 프리랜서를 '원하는 일을, 원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만큼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합니다. 전문성을 갖추고 활동 시간이 보장된 중장년이라면 크몽이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조직에 적응할 필요 없이 본인만의 일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리랜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자영업자의 높은 비중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다양한 프리랜서 서비스 필요
  • 근로시간 축소 = 기업 외주 수요 증가
  •  IT·콘텐츠 산업 및 스타트업 활성화로 인한 프리랜서 고수요 산업 발달
  • N잡 희망자 증가 + 고령화 대응 필요


플랫폼에 자리만 잡으면 원하는 만큼 지속적으로 활동이 가능합니다.



Part.4

크몽으로 실현 가능한 백세N잡


대한민국 No.1 프리랜서 마켓 크몽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프리랜서들이 일하기 좋은 세상을 만들고 있습니다.


  • 6년 연속 프리랜서 마켓 1위, 2024 대한민국 성장 챔피언 선정
  • 700여 개 카테고리에서 50만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 중
  • 크몽 내 활성 전문가 수 30만 명, 누적 회원 수 300만 명

💸 중장년 프리랜서의

주요 유망 활동분야

비즈니스 영역이 확장되면서 프리랜서가 할 수 있는 업무의 영역도 넓고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7. 중장년 프리랜서의 주요 유망 활동 분야(디자인, IT프로그래밍, 문서글쓰기, 창업사업, 취업입시투자노하우, 전자책)


😉 크몽을 통해 새로운 일을 찾은

중장년 프리랜서

 

“컨설턴트로 제2의 인생을 삽니다”

마흔 살까지 부도를 겪으며 사업 실패를 거듭했어요.

다시 시작할 기회가 없다고 생각하다가 주변 분들을 대상으로 1:1 컨설팅을 시작했습니다.

수익 창출이 불안정했는데 크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들 수 있었어요.

- 74년생 크몽 전문가 TEO74


“N잡으로 대통령 표창도 받았어요”

금융회사에서 30년을 일했습니다. ‘생활 스포츠 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것을 계기로 N잡러가 되었어요.

크몽을 통해 자격증 노하우를 전자책으로 판매하고, 건강관리와 자기 계발을 독려하는 활동을 하다 보니 24년 근로자의 날에 대통령 표창도 받았습니다.

- 68년생 크몽 전문가 이성몽


일하는 방식의 변화 직장보단 직업이 중요한 시대,

여러분은 어떻게 준비하고 계시나요?

8. 프리랜서클럽 가입 CTA

9. Future of Work pdf 다운로드 CTA